728x90 전체 글36 [윈도우11] 마지막 한 글자가 사라지는 현상 해결 윈도우 11 환경에서 크롬 브라우저로 메일을 작성하다보면 알트탭을 하거나 커서를 다른 곳에 클릭하고 다시 크롬으로 돌아왔을 때, 마지막에 작성한 글자가 하나씩 사라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업데이트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입력기 문제로 이전 버전으로 되돌려야 해당 문제가 해결됩니다. 해결 절차 1. 검색창 혹은 시작키를 눌러서 '언어'를 검색하고 '언어 및 키보드 옵션 편집'을 클릭합니다. 창이 열리면 '언어 및 지역'을 클릭합니다. 2. 한국어 옆의 점 3개를 클릭하고 드롭다운 창이 열리면 '언어옵션'을 클릭합니다. 3. 하단의 Microsoft 입력기 옆의 점 3개를 클릭하고 드롭다운 창이 열리면 '키보드 옵션'을 클릭합니다. 4. 하단에 있는 '이전 버전의 Microsoft IME' 옵션을 사진처럼 파란불이.. 2024. 1. 10. OSI 7계층 1 - 물리계층 Physical Layer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관련 서적을 구매하거나, 강의를 들을 때 보통 가장 먼저 나오는 개념입니다. 네트워크라는 건물을 세울 때 기초공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도 학부생때부터 물데네전세표응 이라고 암기했다가 저 7글자 빼고 다 까먹고 네트워크 쪽으로 진로를 틀고 나서야 다시 또 공부를 시작했었습니다. 막상 실무에서 안 써먹을 것 같으면서도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을 파다보면 결국 기본 원리를 따르더라구요. 괜히 면접 때 단골로 물어보는 게 아닙니다. 이걸 알아야 업무 지식 습득을 빠르게 할 수 있어요. 구글에 관련 정보는 차고 넘치고 수많은 블로그들에 같은 내용이 있겠지만 부족한 내용은 계속해서 보충하고, 실무와 섞으면서 같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OSI 7 계층 7. 응용계층(Application).. 2024. 1. 5. 고가용성(HA)과 Split Brain HA 개념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는 이중화로 구성하곤 합니다. 장비 2대를 놓고 1대만 운영하면서 해당 장비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예비 장비가 가동되는 형태입니다. 장비에 따라 HA, VRRP, HSRP 등등 여러가지 프로토콜과 이름이 있지만 이중화라는 개념은 비슷합니다. HA는 High Availability의 줄임말로 방화벽 등에서 이중화를 구성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위 그림에서 Primary 방화벽이 평소에 동작하며, Secondary 장비는 그냥 가만히 Primary 장비가 보내주는 생존신호(Heartbeat)와 세션 정보만 받아서 체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이 역할을 Primary - Secondary 혹은 Active - Standby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과거엔 Master -.. 2023. 12. 27. 전이중(full duplex) 반이중(half duplex) 통신의 차이 Cisco 스위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기점검에서는 각 인터페이스를 살펴봅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상태가 full duplex인지, Up인지 등등을 점검합니다. 이때 Full duplex(전이중)와 half duplex(반이중)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통신에서 전이중과 반이중, 그리고 단방향의 이론적인 정리입니다. 그림에서 보시다시피 단방향 통신은 수신과 송신이 정해진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방송국 - 라디오, 본체 - 모니터 등이 있습니다. 반이중 통신은 양측 모두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한 쪽이 송신중이라면 반대쪽은 수신만 가능한 방식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무전기가 있습니다. 상대의 말이 끝나고 '오버'사인이 들릴 때까지 듣기만 해야하죠. 전이중 통신은 양측 모두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방식.. 2023. 12. 25. ARP Spoofing 의 개념 ARP 프로토콜을 이전에 정리했었습니다. 이 AR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공격기법인 ARP 스푸핑에 대한 정리입니다. ARP 스푸핑은 단순하지만 치명적인 중간자 공격의 일종입니다. ARP 스푸핑을 위해 우선 공격자와 피해자들은 같은 네트워크(LAN)에 있어야 합니다. 인터넷과 통신을 하려면 LAN에는 반드시 관문(기본 게이트웨이)이 필요합니다. 보통 가정집에서는 공유기가 이 역할을 합니다. LAN에 존재하는 장비들은 이 관문의 맥 주소를 자신의 ARP 테이블에 저장해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와 통신을 할 때마다 이곳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보냅니다. 그런데 공격자가 자신의 맥 주소를 관문의 맥 주소인 것처럼 ARP Reply 패킷을 각 장비들에게 보냅니다. 패킷을 받은 장비들은 자신의 ARP 테이블의 게이트.. 2023. 12. 23. Putty 로그 기록하기 무료 터미널 프로그램의 대표주자인 Putty의 로그 기록 방법입니다. 먼저 Session의 Logging 탭에 들어가서 Printable output을 선택합니다. Log file name 칸에 저장할 로그 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설정합니다. 이때 파일 이름을 &H_&P_&Y-&M-&D-&T.log로 설정해두면 순서대로 Hostname, Port, 연도, 월, 일, 시간 이름을 가진 파일이 저장됩니다. 선택사항으로 접속할 때 마다 로깅이 저장되게 하고 싶다면 아래 사진과 같이 Session으로 이동해서 Default settings에 Save를 해두면 됩니다. 2023. 12. 22.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